'여행 지역별 사진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산서원 배롱나무  (0) 2021.08.11
병산서원  (0) 2021.08.11
예천/문경여행  (0) 2021.06.28
산북 손짜장  (0) 2021.05.31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0) 2021.05.24

체화정(棣華亭)

안동시 풍산읍 상리2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자 건축물이다.

1985101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다가,

20191230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05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영조 37년(1761)에 진사 만포 이민적이 세운 정자로 학문을 닦던 곳이다

건물구조는 앞면 3칸·옆면 3칸의 2층 건물로 지붕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1층은 지면과 떨어져 있으며 온돌방 1칸을 만들었다.

현판 '담락제'의 글씨는 조선 제일의 화가였던 단원 김홍도가 썼다.

 

 

눈꼽째기창은 창의 크기가 눈꼽만큼 작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의 건물에 달리는 창호는 환기나 채광을 위해 개구부를 만드는 창()과 출입을 위해 개구부를 두는 호()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의 창호는 한지를 발라 마감하기 때문에 안에서 밖을 내다 볼 수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밖의 동태를 살피기 위해서는 창호를 열어야 하는데, 큰 창호를 열면 여름에는 관계없으나 겨울에는 열손실이 많게 된다. 따라서 큰 창을 열지 않고 별도로 설치한 작은 창을 열어서 밖을 내다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를 눈꼽째기창이라고 한다

'여행 지역별 사진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성 조문국 사적지  (0) 2021.05.24
영덕 창포말등대  (0) 2021.05.24
화수헌(花樹軒)  (0) 2021.05.24
문경 봉암사  (0) 2021.05.24
문경 방짜유기촌  (0) 2021.05.24

사적 제260호. 1613년(광해군 5)에 창건되었으며 유성룡의 위패를 모셨다.

고려 말기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을 1572년(선조 5)에 유성룡이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1629년 유진을 추가 배향했으며, 1863년(철종 14) 현재의 이름으로 사액받았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남았던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여행 지역별 사진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용대  (0) 2021.05.05
부석사  (0) 2021.05.05
안동 물포럼기념공원/안동댐  (0) 2021.05.05
묵계종택  (0) 2021.05.05
묵계서원  (0) 2021.05.05

겸암정사

국가민속문화재 제89호. 유성룡(柳成龍)의 맏형인 유운룡(柳雲龍)이 1564년(명종 19)에 지었다고 한다.

하회마을 북쪽 화천(花川)을 끼고 우뚝 솟은 부용대(芙蓉臺)의 서쪽, 옥연정사(玉淵精舍) 맞은편에 자리 잡고 있다.

강가 전면에 정사의 몸체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크기로 一자형 평면을 이루면서 자리 잡고 이의 뒤쪽에

살림채가 ㄱ자형 평면을 이루면서 자리 잡고 있다.

몸채는 서쪽에서부터 방 2칸, 대청 4칸을 두고 다시 앞쪽으로 대청 1칸, 뒤쪽으로 방 1칸을 두었으며, 전면과 좌우에

툇마루를 달고, 계자난간을 둘렀다.

살림채는 서쪽 끝에 1칸 반 크기의 부엌, 다음 2칸×1칸의 온돌방을 두고 다시 2칸×2칸의 대청을 두었는데 전면에는

반 칸 폭의 툇마루를 달았다.

대청 동쪽은 건넌방으로 1칸×2칸 크기이며, 이의 ㄱ자로 꺾인 남쪽으로 다시 1칸×2칸의 방을 두고, 그 남쪽 끝에 계자난간을 두른 1칸 크기의 마루를 두었고, 이 마루와 방의 안마당 쪽으로 툇마루를 달았다.

정사 몸체는 누(樓)의 형식을 갖추어서, 동쪽 면 누마루 밑으로 정사 마당에 출입할 수 있다. 정사의 온돌방과 대청에의 출입은 살림채와의 사이에 세운 대문을 들어가 정사 몸체의 대청 뒷벽에 단 문을 통하여만 가능하다.

즉, 정사 몸체 뒤쪽은 대청에 여닫이문만 두고 모두 벽체를 쳐서 살림채가 들여다보이지 않게 하였다.

막돌초석 위에 두리기둥을 세워 굴도리로 결구하였는데, 기둥 윗몸에 익공모양의 부재를 내었으나 주두가 없는

홑처마의 팔작지붕이다.

살림채는 두리기둥 위에 주두를 얹고, 익공모양의 부재를 내어 퇴보를 받치며 창방 위에 소로를 놓아 도리 밑 장여를

받치고 있는 홑처마의 팔작지붕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하회마을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79

'여행 지역별 사진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휴정  (0) 2021.05.05
낙강물길공원  (0) 2021.05.05
가오실공원  (0) 2021.05.05
소수서원  (0) 2021.04.19
영주 선비촌  (0) 2021.04.19

+ Recent posts